[ < ] [ > ]   [ << ] [ Up ] [ >> ]         [Top] [Contents] [Index] [ ? ]

1.1 단락 서식 처리하기

어떤 특별한 옵션 없이, makeinfo 명령은 Info 파일을 단락 단위로 출력한다. 각 단락의 구분은 빈줄로 하며, 각 단락은 fill column 범위 내에서 연속해서 한 단락안에 출력한다. 한 단락에서의 줄 나눔은 단어단위로 이루워진다. 단락 처리를 위해서 다음 옵션들을 사용할 수 있다.


[ < ] [ > ]   [ << ] [ Up ] [ >> ]         [Top] [Contents] [Index] [ ? ]

1.2 명령행 옵션

다음은 makeinfo 명령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명령행 옵션들이다.

-D var

var 정의. 이것은 Texinfo 파일에서, @set var 쓰임세와 같다.

--error-limit limit

makeinfo 실행 중에 오류가 생겨 작업이 중지될 수 있는 최대 오류 갯수를 지정한다. 초기값은 100 개이다.

--fill-column width

단락의 우측 경계값을 지정한다. 즉, 이 경계값을 기준으로 한 단락 내에서 줄바꿈이 단어별로 이루워진다. fill-column의 초기값은 72칸.

--footnote-style style

주석 모양을 style로 지정한다. 사용할 수 있는 style은 각 노드의 끝에 보이는 `end', 주석이 있을 때마다 창을 분리해서, 보여주는 `separate'이다. 이 옵션은 Texinfo 파일 안에서 지정한 @footnotestyle 명령을 무시한다.

-I dir

Texinfo 파일 안에서, @include 명령으로 사용될 파일을 찾는 디렉토리를 지정한다. 초기값으로는 현재 디렉토리만 적용 된다.

--no-headers

이 옵션은 Texinfo 파일로 일반 ASCII 파일을 만들때 사용된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Info 파일에서 사용되는 노드 라인 부분과 차림표 부분이 생략된다.

--no-split

Info 파일을 만들 때, 파일이 나뉘어 지는 것을 막는다. 보통, 큰 파일(크기가 70K 바이트 이상 되는 것들)일 경우는 makeinfo에서 자동으로 50K 정도의 크기로 나누어서 Info 파일을 만든다. `--no-split' 옵션을 사용하면, 단지 하나의 Info 파일을 만든다.

--no-pointer-validate
--no-validate

makeinfo의 포인터 확인을 하지 않는다. 보통, Texinfo 파일의 처리가 끝나면, 각 노드 검사, 상호 참조 검사 같은 것을 하는데, 이것을 하지 않는다. See section 포인터 확인작업.

--no-warn

경고 메시지를 보이지 않는다. 이것은 오류 메시지까지 무시하는 것은 아니라 경고 메시지만 무시한다. 가령, Texinfo 상호 참조 예제가 있는 파일을 만들 때, 그 예제가 반드시 그 상호 참조 대상이 있는 경우가 아닐 수도 있다. 이때 경고 메시지를 보이는데, 이런 것을 무시할 경우에 사용된다.

--no-number-footnotes

주석에 번호를 붙히지 않는다. 초기값으로는 makeinfo에서 자동으로 주석을 1번부터 시작해서 그번호를 붙힌다. 이것을 무시한다.

--output 파일
-o 파일

만들어질 Info 파일의 이름을 파일로 지정한다. 이때, Texinfo 파일에서 @setfilename 명령으로 지정된 이름은 무시된다. 파일 이름으로 `-' 문자가 사용되면, 이것은 결과를 표준 출력으로 보낸다.

--paragraph-indent indent

단락 첫줄의 들여쓰기 형태를 indent로 지정한다. 이것은 Texinfo 파일에서 @paragraphindent 명령으로 지정하는 것과 같은 역활을 한다. indent 값으로 사용될 될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

--reference-limit limit

makeinfo에서 경고 없이 처리할 참조 노드의 최대 갯수를 지정한다. 이 갯수보다 많은 노드가 있을 경우에는 makeinfo에서 경고를 보여준다.

-U var

var 정의를 최소한다. 이것은 Texinfo 파일 안에서의 @clear var 명령과 같은 역활을 한다.

--verbose

makeinfo 작업과정을 자세하게 보여준다. 이 옵션을 사용하지 않으면, 보통 오류나, 경고 메시지만을 보여준다.

--version

makeinfo 버전 정보를 보여주고 마친다.

--help

makeinfo 명령에서 사용하는 명령행 옵션들과 그 사용법을 간단히 보여준다.


[ < ] [ > ]   [ << ] [ Up ] [ >> ]         [Top] [Contents] [Index] [ ? ]

1.3 포인터 확인작업

Info 파일을 만들 때, `--no-pointer-validation' 옵션을 사용해서, 포인터 확인작업을 무시하지 않는 이상, makeinfo 명령은 Info 파일 만들기 작업 맨 마지막에 여러가지 확인작업을 한다. 대부분, 지정한 노드들이 제대로 있으며, 바르게 참조하는지를 확인하는 작업이다. 다음은 확인작업을 하는 구체적인 내용이다.

  1. `Next', `Previous', 또는 `Up' 노드 참조가 현재 파일 안에서의 참조이고, `(dir)' 파일 참조 같이 외부 파일 참조가 아니면, 그 해당 노드는 현재 파일안에 있어야한다.
  2. 모든 노드에서, `Previous' 노드가 `Up' 노드와 다르다면, `Previous' 노드는 `Next' 노드와의 관계가 맞아야한다.
  3. `Top' 노드를 제외한 모든 노드에서는 `Up' 노드가 있어야한다.
  4. 현재 노드에서 `Up' 포인터에 의해 참조되는 노드는 현재 노드의 `Next'나 `Previous' 참조 노드 보다 상위 노드여야한다. 상위 노드로는 차림표 항목이상 상호 참조이다.
  5. 현재 노드의 `Next' 참조 노드가 `Up' 참조의 `Next' 참조 노드와 다르다면, `Next' 노드로 이동해서, 다시 `Previous' 참조 노드로 이동할 경우, 다시 현재 노드로 돌아와야 한다. 이 규칙은 한 장(section)의 마지막 노드에서 `Next' 노드를 선택할 경우, 다음 장의 첫번째 노드로 이동하는 것을 허락한다.

[ < ] [ > ]   [ << ] [ Up ] [ >> ]         [Top] [Contents] [Index] [ ? ]

A.4 색인

Jump to:    
M  
Index Entry Section

포인터의 확인작업1.3 포인터 확인작업

M
makeinfo에서의 포인터 확인작업1.3 포인터 확인작업

Jump to:    
M  

[ << ] [ >> ]           [Top] [Contents] [Index] [ ? ]

This document was generated by Autobuild on March, 29 2007 using texi2html 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