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Up ] [ >> ]         [Top] [Contents] [Index] [ ? ]

1. Overview of Texinfo

Texinfo(1) 는 한개의 소스 화일을 사용해서 온라인 정보와 인쇄된 출력물을 얻어낼 수 있는 문서화 system이다. 그러므로 온라인 도움말 및 그외 온라인 정보와 매뉴얼 및 그외 인쇄물을 작성하기 위해 두개의 별도의 문서를 작성하는 대신, 오직 1개의 문서만 작성하면 된다. 문서가 변경되었을때, 오직 1개 문서만 변경하면 된다. (Info file이라고 불리는 온라인 정보는 Info 문서보기 프로그램으로 읽을 수 있다.)

Texinfo를 사용해서, 당신은 장(chapter), 절(section), 상호참조(cross reference ), 그리고 색인(index)같은 보통 서적의 특징을 가진 인쇄 문서를 만들 수 있다. 동일한 Texinfo 소스 화일에서 당신은 menu에 의해 동작하는 node, menu, 상호참조, 색인이 있는 온라인 Info file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당신은 원한다면 인쇄 문서의 장과 절을 온라인 정보의 노드와 일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호참조와 색인을 Info file과 인쇄물에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 The GNU Emacs Manual과 이 매뉴얼은 Texinfo 화일의 좋은 예이다.

인쇄 문서를 만들어 내려면, Texinfo 소스 화일을 TeX typesetting 프로그램으로 처리한다. 이렇게 하면 조판하고, 책이나 보고서로 인쇄할 수 있는 DVI 화일이 만들어 진다. (Texinfo 언어는 TeX의 일반적인 언어인 plain TeX 과는 완전히 다르다는 것에 유의한다.) 만약 TeX이 없고 troffnroff가 있다면, 대신에 texi2roff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

Info 화일을 만들려면, Texinfo 소스 화일을 makeinfo 유틸리티로 처리하거나, Emacs의 texinfo-format-buffer 명령을 사용하라; 이렇게 하면 온라인으로 설치할 수 있는 Info 화일이 만들어 진다.

TeX과 texi2roff는 여러가지 종류의 프린터에서 작동한다; 마찬가지로 Info는 거의 모든 종류의 컴퓨터 터미널에서 작동된다. 이 능력은 Texinfo를 일반적인 목적의 system으로 만들어 주지만, 한가지 제한을 가져다 준다. 그것은 Texinfo 화일은 오직 관습적인 "typewriter" 문자(문자, 숫자, 빈칸, 그리고 구두점들)는 포함할 수 있지만, 특이한 graphics는 포함할 수 없다는 것이다.

Texinfo 화일은 글과 typesetting and formatting 프로그램이 뭘 해야 할지 알려주는 @-명령(`@'다음에 오는 단어)이 들어 있는 plain ASCII 화일이다. Texinfo 화일을 어떤 text editor로 작성해도 된다; 하지만 GNU Emacs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편리하다. 왜냐하면 이 에디터는 여러가지 Texinfo와 관련된 기능들을 제공하는 Texinfo mode라는 별도의 mode가 있기 때문이다. (See section Using Texinfo Mode.)

Texinfo는 온라인 도움말과 인쇄된 매뉴얼을 동시에 만드는 데 쓸 수 있다; 게다가 Texinfo는 자유롭게 재배포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Texinfo는 GNU 유틸리티와 라이브러리의 문서가 쓰여진 형식이 되었다.


[ < ] [ > ]   [ << ] [ Up ] [ >> ]         [Top] [Contents] [Index] [ ? ]

1.1 Info files

Info 화일은 Info 문서보기 프로그램이 그 화일에 대해 작동할 수 있도록 format된 Texinfo 화일이다. (makeinfotexinfo-format-buffer는 Texinfo 화일을 Info 화일로 바꾸는 두가지 명령어이다.)

Info 화일은 node라고 하는 조각들로 나뉘고, 각각의 node는 한가지 주제에 대한 설명을 담고 있다. 각 노드는 이름이 있고, 사용자가 읽을 문서와 다른 node에 대한 pointer를 담고 있다. Info 프로그램은 한번에 한개의 node만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다른 관련 노드들 사이로 이동할 수 있는 명령들을 제공한다.

Info 화일의 각 node는 그 node의 주제의 부주제를 설명하는 child node를 몇개라도 가질 수 있다. child node의 이름은 parent node의 menu 안에 나열된다; 이렇게 해서 child node중의 하나로 이동할 수 있는 Info 명령을 사용할 수 있다. 이반적으로 한 개의 Info 화일은 한권의 책처럼 구성되어 있다. 만약 node가 논리적으로 `장'(chapter)의 레벨이면, 그 child node들은 `절'(section)의 level이다; 마찬가지로, `절'의 child node들은 `관'(subsection)의 level에 있다.

같은 parent의 child들은 `Next'와 `Previous' pointer라는 양방향의 사슬로 모두 연결되어 있다. `Next' pointer는 다음 절(section)에 대한 link를 제공하고, `Previous' pointer는 이전 절(section)에 대한 link를 제공한다. 즉 한 장에서 `절'(section)의 레벨에 있는 모든 node는 모두 연결되어 있다. 보통 이 연결고리의 순서는 parent의 menu에 있는 child들의 순서와 동일하다. 각 child node는 parent node의 이름을 `Up' pointer로 가지고 있다. 마지막 child는 `Next' pointer가 없고, 첫번째 child는 `Previous'와 `Up' pointer로 모두 parent를 갖고 있다.(2)

장, 절 등과 맞춰서 node를 만드는 책과 같은 Info 화일의 구조는 관습상의 문제일 뿐이지, 꼭 필요한 것은 아니다. `Up', `Previous', 그리고 `Next' pointer는 다른 어떤 node라도 가리킬 수 있고, menu는 다른 어떤 node라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node의 구조는 어떤 directed graph도 될 수 있다. 하지만, 인쇄된 책이나 보고서처럼 장과 절의 구조와 비슷한 구조를 따르는 것이 보통 더 이해하기 편할 것이다.

menu와 `Next', `Previous', 그리고 `Up' pointer 이외에 Info는 참조라고 하는 다른 종류의 pointer를 제공한다. 참조는 문장 사이에 끼어 있을 수 있다. 보통 참조는 계층적인 구조에 맞지 않는 link를 표현하는 데 가장 적합한 방법이다.

대부분 인쇄물의 장과 절의 구조에 node를 맞춰서 문서를 설계할 것이다. 하지만, 가끔 지금까지 생각했던 내용과는 맞지 않을 때가 있다. 그래서 Texinfo는 Info 화일의 node구조와 출력물의 `절' 구조를 알려주는 별도의 명령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한개의 Info 화일을 전통적으로 `Top'이라고 하는 node를 통해서 들어간다. 이 node는 보통 그 화일의 목적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화일의 나머지 부분을 갈 수 있는 커다란 메뉴를 갖고 있다. 이 node로부터 시작해서 node와 node간을 왔다갔다 해서 논리적으로 file을 검색하거나, main menu에 나열된 특정 node로 가거나, 색인 menu를 찾아서 원하는 정보가 있는 node로 직접 갈 수 있다.

만약 Info 화일을 인쇄된 매뉴얼을 읽듣이 순서대로 읽어 나가고 싶다면, 고급 Info 명령인 g* RET 명령으로 전체 화일을 얻을 수 있다. (See Advanced Info commands: (info)Expert.)

`info' 디렉토리의 `dir' 화일은 전체 Info system의 출발점 역할을 한다. 여기서부터 시작해서 전체 Info system의 각 문서의 `Top' node에 갈 수 있다.


[ < ] [ > ]   [ << ] [ Up ] [ >> ]         [Top] [Contents] [Index] [ ? ]

1.2 Printed Books

Texinfo 화일은 인쇄된 책이나 매뉴얼로 format되고, typeset될 수 있다. 이렇게 하려면 Donald Knuth에 의해 쓰여진 강력하고, 영리한 typesetting 프로그램인 TeX이 필요하다.(3)

Texinfo로 쓰여진 책은 이외 다른 typeset되고, 인쇄된 문서와 비슷하다; 이 문서는 장, 번호가 붙여지거나 안 붙여진 절과 관, page header, 상호 참조, footnote, 색인은 물론이고 표지, copyright page, 목차, 그리고 서문을 가지고 있다.

온라인 정보로 변환할 것은 전혀 신경쓰지 않고, 책을 쓰기 위해 Texinfo를 사용할 수 있다. Texinfo는 인쇄된 소설이나, 심지어 인쇄된 메모를 쓰는데는 사용할 수 있다. 비록 후자의 상은 전자메일이 훨씬 쉽기 때문에 추천하지 않지만.

TeX은 일반적인 목적의 typesetting 프로그램이다. Texinfo는 Texinfo 화일을 typeset할때 사용되는 정보(정의나 매크로)를 담고 있는 `texinfo.tex'이라는 화일을 제공한다. (`texinfo.tex'은 TeX에게 어떻게 Texinfo의 @-명령을 TeX 명령으로 바꿀지 알려준다. 그리고 TeX은 TeX 명령들을 처리해서 typeset 문서를 만들어낸다.) `texinfo.tex'은 문서를 인쇄하기 위한 specification으 담고 있다.

문서는 8.5inch by 11inch(216mm by 280mm; 이것은 기본 크기) 종이에 인쇄되는 것이 가장 많다. 하지만 7inch by 9.25inch (178mm by 235mm; @smallbook 크기의 종이나 유럽식 A4 크기 (@afourpaper)종이에 인쇄할 수도 있다. (See section Printing "Small" Books. 그리고 Printing on A4 Paper.)

`texinfo.tex'의 parameter를 바꾸면 인쇄물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또, 인쇄 문서가 format되는 style을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되는 font의 크기, 각 문단의 indentation 크기, 단어가 hyphenate되는 정도 등을 바꿀 수 있다. 이 specification을 바꾸는 것으로 위엄있고 중후하고 심각하게 보이는 책을 만들거나, 가볍고, 신선하고, 명랑하게 보이는 책을 만들 수도 있다.

TeX은 자유롭게 배포할 수 있다. TeX은 Pascal의 한 갈래인 WEB이라는 언어로 쓰여졌고, Pascal이나 (TeX과 함께 배포되는 변환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C로 컴파일할 수 있다. TeX에 관한 정보를 얻으려면 (See (emacs)TeX Mode section `TeX Mode' in The GNU Emacs Manual.

TeX은 매우 강력하고, 아주 많은 기능이 있다. Texinfo 화일은 Info 형태로 문자만 출력되는 terminal과 조판된 책으로 동시에 볼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Texinfo가 제공하는 formatting 명령은 제한될 수밖에 없다.

See section How to Obtain TeX.


[ < ] [ > ]   [ << ] [ Up ] [ >> ]         [Top] [Contents] [Index] [ ? ]

1.3 @-commands

Texinfo 화일에서, TeX에게 어떻게 인쇄된 매뉴얼을 typeset할것인지 알려주고, makeinfotexinfo-format-buffer에게 어떻게 Info 화일을 만들지 알려주는 명령은 `@'가 앞에 온다; 이 명령들은 @-명령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node는 node를 가리키는 명령이고, @chapter는 장의 시작을 알려주는 명령이다.

주의: 모든 @-명령은 @TeX{} 명령을 제외하고는 완전히 소문자로만 쓰여진다.

Texinfo의 @-명령은 엄격히 제한된 명령어 집합이다. 이 엄격한 제한때문에 Texinfo 화일은 TeX과 Info 화일로 변환하는 code에서 이해될 수 있다. Info 화일은 알파벳과 숫자를 표시할 수 있는 어떤 터미널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것과 비슷하게, TeX에 의해 만들어진 출력물을 여러가지 종류의 프린터에서 인쇄할 수 있다.

이 명령어들이 어떤 일을 하느냐에 따라, 또는 이 명령어에 어떤 argument(4)를 그 명령어가 가지냐에 따라, @-명령을 줄에 단독으로 쓰이거나, 문장의 일부로 써야 한다:

일반적인 규칙으로, 한개 명령은 다른 글속에 섞여서 사용될 경우 brace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한개 줄에 단독으로 시작되면 brace가 필요없다. @:같은 알파벳이 아닌 명령은 이 규칙의 예외이다. 이 명령들은 brace가 필요없다.

Texinfo에 경험을 쌓을 수록, 여러가지 명령들을 어떻게 써야 할지 금방 알게 될 것이다: 명령어들을 쓰는 여러가지 방법은 정확한 syntax를 따른다면 Texinfo 화일을 쓰거나 읽기 쉽게 만들 것이다. (@-명령의 syntax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Command Syntax.)


[ < ] [ > ]   [ << ] [ Up ] [ >> ]         [Top] [Contents] [Index] [ ? ]

1.4 General Syntactic Conventions

`@', `{', 그리고 `}'를 제외한 표시 가능한 ASCII 문자는 Texinfo 화일에 쓸 수 있고, 바로 그 문자를 뜻한다. `@'는 명령어를 시작하는 escape 문자이다. `{'`}'는 특정 명령어에 대해서 argument를 둘러싸기 위해서만 사용되어야 한다. 이 특별하게 사용되는 문자들을 문서에 쓰려면, 그 앞에 `@' 문자를 쓴다. 즉 다음과 같이 한다: `@@', `@{', 그리고 `@}'.

dash를 쓰려면 한번에 세개의 hyphen, `---'을 사용한다--이와 같이. TeX에서는, 한개나 혹은 두개의 hyphen은 보통 typeset때 쓰이는 dash보다 짧은 dash를 쓴다. Info는 스크린에 표시하기 위해 세개의 hyphen을 두개로 바꾼다.

인쇄된 매뉴얼에서 문단이 들여쓰기 되는 것을 방지하려면, @noindent를 그 문단 앞의 줄에 단독으로 쓴다.

만약 Texinfo의 일부를 @iftex@end iftex 명령으로 둘러싼다면, 그 부분은 인쇄물에서만 나타날 것이다; 그 부분에서는, Info에서는 쓸 수 없는 plain TeX에서 온 몇개의 명령을 쓸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일부를 @ifinfo@end ifinfo로 둘러싼다면, 그 부분은 오직 Info 화일에만 나타날 것이다; 그 부분에서는 TeX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Info 명령을 쓸 수 있다. @ifhtml@end ifhtml도 마찬가지이다. See section Conditionally Visible Text.

주의: Texinfo 화일에서 tab을 사용하지 말라! TeX은 가변폭의 font를 사용한다. 이것은 어떤 상황이든 tab이 작동하도록 정의할 수 없다는 뜻이다. 결과적으로 TeX은 tab을 한개의 space처럼 처리하고, 그 문서는 그 모양 그대로 보이지 않는다.

이 문제를 피하기 위해, Texinfo mode는 GNU Emacs가 TAB key를 누를때 여러개의 space를 넣도록 해 준다.

또한 Emacs에서 한 region에서 tab을 여러개 space로 바꾸려면 untabify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 < ] [ > ]   [ << ] [ Up ] [ >> ]         [Top] [Contents] [Index] [ ? ]

1.5 Comments

@comment 명령(@c로 주여 쓸 수 있는)을 사용해서 Info 화일이나 인쇄된 매뉴얼 모두에 나타나지 않는 comment를 Texinfo 화일에 쓸 수 있다. 이 comment는 Texinfo 화일을 읽는 사람을 위한 것이다. @comment@c 명령에 이어서 오는 한줄은 모두 comment이다; 그 줄의 나머지는 Info 화일이나 인쇄된 매뉴얼에 나타나지 않는다. (때때로, @comment@c를 줄의 가운데 쓸 수도 있다. 그리고 오직 @comment@c 다음에 오는 글만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settitle@setfilename처럼 전체 줄에 걸쳐서 작동하는 명령의 경우는 아니다. 그런 명령으로 시작하는 줄에서는 @comment@c을 쓸 수 없다.

@ignore@end ignore 명령을 사용해서 Info 화일이나 인쇄된 매뉴얼 모두에 나타나지 않는 긴 길이의 글을 쓸 수 있다. 각 명령을 한 줄에 단독으로 줄이 시작할때 쓴다. 이 두 명령 사이의 글은 처리된 출력물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comment를 쓰기 위해 @ignore@end ignore 명령을 쓸 수도 있다. 또, @ignore@end ignore는 문서의 Texinfo 소스 화일에는 해당되지만, 그 문서로 만들어진 Info나 인쇄물에는 해당되지 않는 copying premission의 일부를 둘러싸기 위해 쓸 수도 있다.


[ < ] [ > ]   [ << ] [ Up ] [ >> ]         [Top] [Contents] [Index] [ ? ]

1.6 What a Texinfo File Must Have

습관적으로 Texinfo 화일의 이르은 `.texinfo', `.texi', 또는 `.tex'의 확장자가 붙는다. 더 긴 확장자가 이 화일의 특성을 사람에게 더 분명히 알려주기 때문에 더 좋다. 짧은 확장자는 긴 화일이름을 처리할 수 없는 operating system에 해당되는 것이다

인쇄된 매뉴얼과 Info 화일로 만들기 위해서 Texinfo 화일은 반드시 다음과 같은 줄로 시작해야 한다:

 
\input texinfo
@setfilename info-file-name
@settitle name-of-manual

화일의 내용은 이렇게 시작해야 하고, 반드시 다음과 같은 줄로 끝나야 한다.

 
@bye

`\input texinfo' 줄은 TeX에게 TeX에게 어떻게 Texinfo의 @-명령들을 TeX typesetting 명령으로 바꿀지 알려주는 `texinfo.tex' 화일을 사용하게 한다. (backslash, `\'를 사용하는 것에 주의하자; 이게 TeX에게는 맞다.) `@setfilename' 줄은 Info 화일의 이름을 알려주고, TeX에게 보조 화일을 열도록 한다. `@settitle' 줄은 인쇄된 매뉴얼의 page header (혹은 footer)를 지정한다.

화일의 끝에 단독으로 쓰이는 @bye 줄은 format하는 프로그램에게 화일이 끝났고, formatting을 중단하라고 알려준다.

보통 이렇게 빈약한 형식을 사용하지 않고, mode setting과 start-of-header와 end-of-header 줄을 Texinfo 화일의 시작에 다음과 같이 포함시킬 것이다:

 
\input texinfo   @c -*-texinfo-*-
@c %**start of header
@setfilename info-file-name
@settitle name-of-manual
@c %**end of header

첫줄의 `-*-texinfo-*-'라인은 이 화일을 편집할때 Emacs가 Texinfo mode로 바꾸도록 한다.

`@setfilename'`@settitle' 줄을 둘러싸는 @c 줄들은 없어도 되지만, 화일의 일부에 대해서 TeX이나 Info를 실행할때 필요하다. (더 자세한 정보를 얻으려면 See section Start of Header.)

그 외에, 보통 Texinfo 화일에 표지, 색인 등을 알려줘야 할 것이다. 그러나 짧은 문서에 유용한 최소한은 시작할때 세 줄과, 끝날때 한 줄이다.


[ < ] [ > ]   [ << ] [ Up ] [ >> ]         [Top] [Contents] [Index] [ ? ]

1.7 Six Parts of a Texinfo File

일반적으로 Texinfo 화일은 이 최소한의 시작과 끝보다 더 많은 것을 가지고 있다--보통 여섯개 부분을 가지고 있다:

1. Header

Header는 화일을 이름짓고, TeX에게 어떤 definition 화일을 사용할 것인지를 알려주고, 그 외 "살림살이(housekeeping)" 업무를 수행한다.

2. 요약 설명과 Copyright

요약 설명과 Copyright 부분은 문서를 설명하고, Info 화일의 copyright notice와 copying permission을 담고 있다. 이 부분은 @ifinfo@end ifinfo로 둘러싸서 Info 화일일때만 이 부분을 나타내도록 해야 한다.

3. 표지과 Copyright

표지과 Copyright 부분은 인쇄된 매뉴얼을 위한 표지와 copyright page, 그리고 copying permission이 있다. 이 부분은 @titlepage@end titlepage로 둘러싸여야 한다. 이 표지와 copyright page는 인쇄된 매뉴얼에서만 나타난다.

4. `Top' Node와 Master Menu

Master Menu는 전체 Info 화일의 모든 node의 전체 menu를 갖고 있다. 이 메뉴는 Info 화일에서만 `Top' node안에서 나타난다.

5. Body

문서의 Body는 전통적인 책이나, 백과사전처럼 구조화될 수 있고, 형태가 자유로울 수도 있다.

6. 끝

에는 색인과 차례를 표시하기 위한 명령어들과 단독으로 @bye 명령이 있다.


[ < ] [ > ]   [ << ] [ Up ] [ >> ]         [Top] [Contents] [Index] [ ? ]

1.8 A Short Sample Texinfo File

여기 여섯가지 부분은 완전하지만, 짤막한 Texinfo 화일이 있다. `\inpu texinfo'에서부터 `@end titlepage'까지 이 화일의 첫 세 부분은 더 위협적(FIXME)으로 보인다. 대부분은 표준적인 boilerplate(FIXME)이다; 매뉴얼을 쓸때, 그냥 이 부분에 당신의 매뉴얼의 이름을 집어넣는다. (See section Beginning a Texinfo File.)

다음의 예문은 들여쓰기되었다; 그에 대한 comment는 안 되었다. comment가 없는 완전한 화일은 A Sample Texinfo File에서 볼 수 있다.

Part 1: Header

이 header는 Info 화일이나 인쇄된 매뉴얼에서 보이지 않는다.
이 부분은 여러가지 parameter를 결정한다. parameter는 Info
화일의 이름이나, header에 사용되는 제목이다.

 
\input texinfo   @c -*-texinfo-*-
@c %**start of header
@setfilename sample.info
@settitle Sample Document
@c %**end of header

@setchapternewpage odd

Part 2: 요약 설명과 Copyright

요약 설명과 copyright 부분은 인쇄된 매뉴얼에서만
보인다.

 
@ifinfo
This is a short example of a complete Texinfo file.

Copyright @copyright{} 1990 Free Software Foundation, Inc.
@end ifinfo

Part 3: 표지와 Copyright

이 표지 부분은 Info 화일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titlepage
@sp 10
@comment The title is printed in a large font.
@center @titlefont{Sample Title}

@c The following two commands start the copyright page.
@page
@vskip 0pt plus 1filll
Copyright @copyright{} 1990 Free Software Foundation, Inc.
@end titlepage

Part 4: `Top' Node와 Master Menu

`Top' node는 Info 화일의 master menu를 담고 있다.
인쇄된 매뉴얼은 menu가 아니라 차례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 master menu는 Info 화일에서만 나타난다.

 
@node    Top,       First Chapter, (dir),    (dir)
@comment node-name, next,          previous, up
 
@menu
* First Chapter::    The first chapter is the
                     only chapter in this sample.
* Concept Index::    This index has two entries.
@end menu

Part 5: 문서의 Body

body 부분은 문서의 색인과 차례를 제외한 글 모두를 담고 있다. 이 예문은 한개 node와 번호 메겨진 list를 담고 있는 한개의 장이 있다.

 
@node    First Chapter, Concept Index, Top,      Top
@comment node-name,     next,          previous, up
@chapter First Chapter
@cindex Sample index entry

This is the contents of the first chapter.
@cindex Another sample index entry

Here is a numbered list.

@enumerate
@item
This is the first item.

@item
This is the second item.
@end enumerate

The @code{makeinfo} and @code{texinfo-format-buffer}
commands transform a Texinfo file such as this into
an Info file; and @TeX{} typesets it for a printed
manual.

Part 6: 문서의 끝

끝 부분은 색인이나 이 문서가 원래 가지고 있는 번호가 붙지 않은 장을 만들기 위한 명령과 차례를 만들기 위한 명령을 담고 있다; 또 이 부분은 문서의 끝을 나타내는 @bye 명령이 있다.

 
@node    Concept Index,    ,  First Chapter, Top
@comment node-name,    next,  previous,      up
@unnumbered Concept Index

@printindex cp

@contents
@bye

결과

여기에 이 예문의 첫번째 장이 어떻게 보이는 지가 있다.


This is the contents of the first chapter.

Here is a numbered list.

  1. This is the first item.
  2. This is the second item.

The makeinfo and texinfo-format-buffer commands transform a Texinfo file such as this into an Info file; and TeX typesets it for a printed manual.


[ < ] [ > ]   [ << ] [ Up ] [ >> ]         [Top] [Contents] [Index] [ ? ]

1.9 Acknowledgements

Richard M. Stallman이 이 매뉴얼의 Edition 1.0을 썼다. Robert J. Chessel이 Edition 1.1부터 시작해서 변경하고, 보강했다. Karl Berry가 Edition 2.22부터 시작해서 Texinfo 3.8과 그 뒤 버전에 대해서 추가했다.

이 작업을 발전시키는 데 도와준 모두에게 감사한다. 특히 쉴새없이 실수와 불분명한 점을 기록하고 알려준 François Pinard와 David D. Zuhn에게 감사한다; 자주, 그리고 때로는 지겹게 비슷한 edition들을 다시 매뉴얼을 읽어준 Melissa Weisshaus에게 특히 감사한다. 우리의 실수는 우리 탓이다.

제안이나 수정을 다음으로 보내주길 바란다:

 
Internet address:
    bug-texinfo@prep.ai.mit.edu

당신의 메세지에 edition 번호화 변경일을 포함시켜 달라.


[ < ] [ > ]   [ << ] [ Up ] [ >> ]         [Top] [Contents] [Index] [ ? ]

1.10 About Korean translation

이 매뉴얼 번역판은 번역판일 뿐이다. 한국어에 Localize된 Texinfo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xref는 `See …'를 출력한다고 그대로 번역하고 있다.

류창우가 Edition 2.23를 한국어로 번역했다.


[ << ] [ >> ]           [Top] [Contents] [Index] [ ? ]

This document was generated by Autobuild on March, 29 2007 using texi2html 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