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Info의 화면을 보면 일반 info 내용이 나타나는 부분과 아랫부분에 역상으로 여러가지 정보들이 나타나는 상황선이 있다. (이 글에서는 이 상황선을 `작은 화면(small screen)'이라 부른다.) info의 사용법을 설명하기 이전에 먼저 이 작은 화면에 대한 이야기를 할 필요가 있다.
이 화면의 가운데에서 오른쪽에 `--All----' 이런 글자가 보인다면, 이것은 현재 화면에서 현재 노드의 내용을 보여 주고 있다는 이야기다. 대신에 `--Top----' 이런 글자가 보인다면, 이것은 현재 노드의 제일 처음에 있고 이 화면 다음에도 내용이 더 있다는 이야기다. 이때 다음 내용을 보기 위해서는 화면 이동 명령을 사용하는데, 먼저 한 화면씩 움직이는 명령으로 다음 화면을 보려면 사이띄우게를 이전 화면을 보려면 `Delete'라고 쓰여진 글쇠나 지움글쇠를 사용한다.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당신은 지금 Info라는 풀그림을 보고 있는데, 이것은 문서를 읽는 것이다.
그래서 지금 당신은 노드라는 것에 대해서 보고 있다. 하나의 노드는 특정한 내용과 그에 해당하는 제목으로 구성된다. 지금 보고 있는 이 노드의 제목은 "Info 사용법"이다.
각 노드의 첫줄에는 머릿말이 있는데, 이 노드의 머릿말은 현재 `info'라는 파일 안에 있는 `Help'이라는 이름의 노드를 알리고 있다. 다음에는 `도움말-P'라는 것이 다음 노드의 이름임을 알리고 있다. 고급 Info 명령으로 당신이 알고 있는 노드의 이름으로 바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때 이 노드 이름들이 사용된다.
`Next' 다음에는 `Previous', `Up' 글자들이 있는데, 이것은 각각 이전 노드 이름이 `작은 화면 도움말'이고, 상위 노드 이름은 `시작하기'임을 알린다. 어떤 노드에서는 이 `Previous'나 `Up'이 없는 경우도 있다.
이제 `Next'에서 알리고 있는 `도움말-P'이라는 이름을 가진 노드로 이동해 해보자.
>> `n' 글쇠를 쳐보자. 단지 한 글쇠만. 작은 따움표를 칠 필요도 없고, n 글쇠 다음 Enter도 칠 필요 없다. |
`>>' 기호로 시작하는 내용은 직접 해보라는 뜻이다.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이 노드의 이름은 `도움말-P'이다. `Previous' 노드는, 보듯이, `Help'이고, 이것은 좀전에 n 명령을 내렸던 노드이다. 이 노드에서 다시 n 명령을 내리면 다음 노드인 `도움말-^L'로 이동하게 된다.
>> 하지만 지금 실행보지 말고, 먼저, p 명령으로 `Previous' 노드로 이동한 후, 그곳에서 n 명령으로 다시 이곳에 오십시오. |
이것은 꼭 장난 치는 것 같지만, 쓸모 없는 작업은 아니다. 보다 복잡한 명령은 좀 있다가 배우게 될 것이다. 그러니, 새 명령들에 대해서 벌써부터 연습해 볼 필요는 없다.
>> 이제 n 글쇠를 쳐서 `도움말-^L' 노드로 가보자. |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화면을 살펴보자. 먼저, 화면 첫줄, 머릿말 부분에서는 현재 노드가 `도움말-^L' 임을 알리고, 다음 p 글쇠를 치면, 좀전에 보았던, `도움말-P' 노드로 돌아감을 알린다. 그리고, 그 아랫줄에는 밑줄이 그어진 이 노드의 제목이 보인다. 이 제목은 현재 이 노드에서 어떤 이야기를 하고 있는가를 알린다.
화면 크기를 임의로 변경하지 않았다면, 화면의 아랫쪽 역상부분으로 보여지는 줄에서 `--Top-----'이라고 나올 것이다. 이것은 앞에서 설명했듯이 이 노드의 내용은 한 화면에 다 보일 수가 없기에, 현재 위치는 이 노드의 처음 부분임을 알린다. 만일 `--All----'이라고 나온다면, 화면에 보여지는 것 외에는 다른 내용이 없음을 알린다.
사이띄우게와 Delete, B 글쇠를 치면, 각각 화면의 내용을 한 화면씩(화면 전체적으로) 바꾼다. 사이띄우게는 한 화면 다음(아래) 내용을 보여주며, Delete 글쇠는 한 화면 이전(윗) 내용을 보여주며, B 글쇠는 현재 노드의 처음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재미있는 것은 사이띄우게와 Delete 글쇠는 계속 누르고 있으면, 계속 그 해당 작업을 한다는 것이다. 즉, 현재 노드의 끝으로 왔을 때 사이띄우게를 누르면, 현재 노드에서 지정한 다음 노드로 이동해서, 그 노드의 내용을 보여주게 된다. 결국 n 명령과 같은 역활을 하게 된다.
>> 그럼 사이띄우게를 한번 쳐서 다음 내용으로 가서 다시 Delete 글쇠를 쳐서 이곳으로 돌아와 보자. |
사이띄우게와 Delete 글쇠를 누르때, 화면의 내용을 유심히 살펴보면, 각각 아래 위 두 줄을 남겨두고 스크롤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info를 사용하다 보면, 터미날 환경에 따라 지나간 글을 제대로 지우지 못해 화면이 지저분해 질 경우가 있다. 이때 현재 화면을 다시 깔끔하게 보여주는 기능을 하는 명령이 바로 C-l 이다. (Control-L이라는 뜻으로, "Ctrl" 글쇠를 누르고 있으면서 L이나, l 글쇠를 치는 것을 의미한다.)
>> 지금 C-l 해보자. |
현재 노드의 처음으로 가고 싶은데, Delete 글쇠를 여러번 눌러야 할 경우라면, 이때 b 글쇠를 치면 바로 현재 노드의 처음으로 이동한다.
>> 지금 확인해 보자. (그저 간단히 Delete 글쇠 몇번 누르면 될 문제를 왜 복잡하게 이렇게 했냐하면, 요즘은 화면이 커서 별 차이가 없겠지만, Emacs에서 Info 창을 열어서 사용할 때는 이 명령이 아직도 유용하게 쓰인다.) 다시 이곳으로 오려면 어떻게 할까? |
화면이 엄청나게 커서 현재 노드의 내용을 한 화면에 다 볼 수 있다면, 당연히 "b" 명령은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근데, 이 노드를 다보여주는 화면도 있으려나^^;)
이제 꽤 많은 명령을 배웠다. 어떤 기능이 있는지는 아는데, 그 명령이 뭔지 잊어버렸을 경우에, ? 글쇠를 치면, info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명령들을 보여준다. 이 도움말을 다 보았을 경우에는 그냥 사이띄우게를 계속 누르면 된다.
>> ? 글쇠를 눌러 도움말을 끝까지 살펴보고, SPC 글쇠를 눌러보자. |
(지금 emacs의 info 보기가 아닌, info 풀그림을 보고 있다면, `l' 명령을 사용해서 이곳에 올 수도 있다.)
지금까지 명령을 익혔다면, 일단 info 파일을 읽는 데는 별 지장이 없을 것이다. 마치 책을 읽듯, 차근하게 차례로 읽을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이제 다음 몇개의 글만 더 읽는다면, info 파일의 내용을 마음대로 옮겨가며 읽을 수 있을 것이다.
>> 이제 n을 쳐서 m 명령에 대해서 살펴보자. |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차림표와 m 명령
n과 p 명령으로는 지정된 노드 사이를 오가며 글을 읽을 수 밖에 없다. 차림표("Menu"라고 적힌 부분의 아랫부분)는 마치 책의 글 차례처럼 각 노드의 이름과 간단한 설명이 나열되어 있고, 그 노드로 바로 이동한다. 차림표는 항상 `* Menu:' 글자로 시작한다. info의 특징은 바로 이 차림표 기능과 상호참조(cross reference)기능을 제공하는 하이퍼텍스트 시스템이라는 것이다.
차림표 항목은 한줄씩으로 되어있는데, 그 첫칸에는 `*' 표가 있다. 이 표시 다음에는 그 항목의 이름이 나오고, `:' 표시로 그 항목의 이름이 끝남을 알리고, 그 다음에는 그 항목의 간단한 설명이 있다. 차림표 항목 중에 첫칸에 `*' 표시가 없는 경우도 있는데, 특정 노드가 지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단지 그 글 자체, 읽는 것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림표는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아래 것은 진짜 차림표가 아니라, 차림표 예제이다.)
* 예제: 예제 노드. 이것은 차림표 예제이다 |
이 차림표 항목은 한개이고, 그 항목의 이름은 `예제'이며, 그 항목의 노드이름은 `예제 노드'이다. 나머지 부분은 읽는 사람이 알기 쉽도록 설명해 둔 것이다. [[즉, 엄밀히 말하면, "이것은 차림표 예제이다"라는 내용은 차림표 안에 포함되지 않는다. 그래서, 이 내용의 길이가 길 경우, 다음 줄에 나타나는데, 이때는 그 줄 첫칸에 `* ' 표가 나타나지 않는다.]]
이제 이 차림표의 항목으로 이동하고 한다면, 바로 이 항목의 이름을 사용한다. info에서는 바로 이 이름으로 각 노드를 찾고 그 노드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런 이유로 이 이름들은 사람이 알기 쉽도록 작성되기 보다는 컴퓨터가 알기 쉽도록 작성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각 항목에 대한 간단한 설명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한편, 노드의 이름과 차림표 항목의 이름이 같은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나타난다.
* 예제:: 이것은 차림표 예제이다. |
윗 표시는 노드의 이름과 차림표 이름이 모두 `예제'라고 알리고 있다.
>> 이제, 사이띄우게를 사용해서, 이 노드에서 차림표를 찾아보자. 사이띄우게를 몇번 누르면 차림표가 보일 것이다. 만일 발견하지 못했다면, m을 쳐보자. 이때, 이 명령을 사용할 수 없다면, 이 노드에는 차림표가 없는 것이다. |
차림표의 각 항목으로 이동하는 명령은 m이다 - 하지만 지금은 사용하지 말기를! m 명령을 사용하기 전에 먼저, 명령과 그 명령의 인자에 대해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배운 명령들에서는 명령의 인자가 필요없었다. 즉, 그냥 그 명령을 내리기만 하면, info에서는 바로 그 명령에 따른 작업을 했었다. 하지만, m 명령은 다르다. 이것은 어떤 항목으로 이동할 것인지를 물어본다.
이제 화면의 아랫쪽을 보자. 그곳에 보면, 역상으로 나타는 줄이 하나 있고 그 밑에 빈줄로 또 한 줄이 있다. 바로 그 줄에서 명령의 인자를 입력받는다. 즉, m 명령과 같은 명령의 인자가 필요한 명령이 사용되면, 커서가 그 화면 마지막 줄로 옮겨지면서, 사용자의 입력을 기다린다. 이때, 사용자는 적당한 인자값을 입력해야 한다. 입력의 끝은 엔터로 끝난다. 이때, 현재 입력 작업을 취소하고자 한다면, Control-g를 누른다.
m 명령에서는 m을 치면, 화면 마지막 줄에, `Menu item: ' 글자가 나타나고, 그 다음에 커서가 나타나, 당신의 입력을 기다린다. 이때, 원하는 항목의 이름을 입력해주고, 엔터를 누르면 된다.
이때, 그 항목의 이름을 모두 적어줄 필요는 없다. 앞의 몇자만 적어주고, 그것이 다른 항목의 이름들과 구별지을 수 있다면, 그 구분된 노드로 이동한다. 영문일 경우, 대소문자 구분을 하지 않으며, 적어주는 이름의 끝에 공백문자는 허용하지 않는다.
또한 쉘 명령행 입력할 때 처럼 Tab 글쇠를 이용해 나머지 부분을 자동으로 채워주는 기능을 이용할 수도 있다. (쉘에서의 기능과 똑같다.)
만일, 현재 커서가 차림표 항목에 와 있다면, m 명령은 인자를 초기값으로 현재 커서가 있는 항목의 이름을 사용한다. 그래서, 만일 바로 그 항목으로 이동하고자 한다면, 그냥 엔터를 누르면 된다.
여기 이제 지금까지 배운 것을 연습해 볼 차림표가 있다.
1.5.1 u 명령 | 장난 삼아 한번 가보자. | |
1.5.1 u 명령 | 이런 방법으로 갈 수 있다. | |
1.5.1 u 명령 | 이정도면 충분할까나? |
>> 이제 m 글쇠를 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보자. |
이러면, 커서가 화면 마지막 줄로 현재 옮겨져 있을 것이다. 아직 다른 작업을 하지 말고, 이 글을 마자 읽기 바란다. 이제 차림표 항목의 이름을 입력해 보자.
만일 굳이 해보고 싶지 않다면, Ctrl-g 명령으로 중지하면 된다.
>> Ctrl-g를 눌러 어떻게 되는지 살펴 보자. >> 이제 다시 m을 눌러 >> `예제'라고 입력하고, 엔터는 치지말고. |
입력 도중에 입력할 글자들들 수정하려면, Delete 글쇠를 이용한다.
>> 이제 준비가 되었으면, 엔터를 친다. |
이 자습서를 계속 읽고 싶으면, 도움말-예제로 갔다가 다시 이곳으로 돌아와야하는 것을 잊지말도록.
>> n 명령을 이용해 다음 명령들을 살펴 보자. |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축하! 이 노드의 이름은 `도움말-예제'이다. 이 노드는 다른 노드와 달리, 이전, 다음 노드가 지정되어 있지 않았다. 즉, n, p 명령으로는 이 노드로 올 수 없으며, m 명령으로 올 수 있다. 이제 상위 노드로 이동하는 u 명령을 배워야 할 시기다. 차림표는 현재 노드를 바탕으로 그 하위 노드로 이동하는 방식을 취한다. 하지만, n, p 명령으로 이동하는 노드는 그 계층구조가 같은 서열에 있는 노드들이다. m 명령으로 하위 노드로 이동했을 경우, 다시 상위 노드로 돌아가고자 한다면, 이전 노드로 이동하는 p 명령이 아니라, u(Up) 명령을 사용한다.
즉, 조금 전에 보았던 `도움말-M' 노드로 돌아가려면, u 글쇠를 눌러야한다. 이 명령은 그 노드의 처음으로 이동한다. 그래서, 조금 전에 읽었던 부분으로 돌아가려면, 다시 사이띄우게를 사용해야한다.
>> `도움말-M' 노드로 돌아가기 위해 u를 치자. |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이 자습서의 끝부분이다. 끝까지 읽고 숙지하시길.
만약에 여러 노드를 이동하다가 다시 바로 이전의 상태로 되돌리고 싶을 경우에는 l 명령을 사용한다. l은 last를 의미한다. 이 명령은 지금껏 배운 이동 명령들과 달리 그 이동 명령들에 대한 명령이다. 당신이 한 노드에서 다른 노드로 이동할 때, info에서는 어디서 그 노드로 이동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기록한다. l 명령은 바로 그 기록 정보를 거꾸로 되돌리는 역활을 한다.
현재 이 자습서의 내용에 따라 이 글을 읽고 있다면, 첫번째 l 명령은 `도움말-M' 노드로, 그다음 l 명령은 `도움말-예제' 노드로 이동할 것이다. 또 그다음 l 명령은 `도움말-M' 노드로 이동할 것이다.
>> l 글쇠를 세번 쳐서 화면이 어떻게 바뀌는지 확인해 보자. |
다음 다시 이곳으로 돌아오기 바란다.
l 명령과 p 명령의 차이점은, l 명령은 당신이 옮겨다닌 노드를 대상으로 하고 있고, p 명령은 항상 `Previous' 에서 지정된 노드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d' 명령은 info에서 살펴 볼 수 있는 최상위 노드이다. 즉, info를 아무 옵션이나, 인자 없이 시작하게 되면 보여주는 것이 바로 이 노드이다. 이것은 dir 파일의 내용이며, `d' 명령은 바로 이 dir 파일의 내용을 읽는다.
>> `d'를 쳐서, 구경 한번 하고, 다시 l을 쳐서 이리로. |
가끔 info 문서 파일안에서 상호참조(cross reference)를 볼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See section 상호참조. 여기서 "* NOTE:" `상호참조'라고 표현된 것이 바로 상호참조이며, 이것은 `도움말-상호참조' 노드를 가리키고 있다.
이 상호참조로 이동하려면, `f' 명령을 사용한다. `f' 명령의 인자로 그 참조할 이름을 입력하는데, 여기서는 `이런식'이 된다. 여느 인자 입력방식과 같이 Delete 글쇠로 입력을 수정할 수 있으며, Control-g로 입력을 취소할 수 있고, Tab으로 나머지 부분을 자동으로 채울 수도 있다.
>> `f'를 누르고, `상호참조'를 입력하고, 엔터를 쳐보자. |
현재 노드에서 참조할 수 있는 모든 상호참조를 보려면, `f'를 친 다음, ? 글쇠를 누른다. 그러면 그 목록들이 모두 나열된다.
>> "f?" 글쇠를 쳐서 상호참조 내용들을 살펴보고, Control-g를 쳐서 취소를 해보자. >> 이제 n으로 이 자습서의 마지막으로 가자. |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이 노드는 `상호참조'이라는 이름을 가진 상호참조에 의해서 불려지는 노드이다.
이런 상호참조 노드의 경우는 대게 전체적인 info 파일의 구조와 관계없이 특정 노드에 의해서만 관계되어 나타난다. 그래서, `Next', `Previous' 또는 `Up' 노드에 대한 지정이 없을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l 명령으로 이전 노드로 돌아간다.
>> l을 쳐서 이전으로 돌아가자. |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Info를 끝내려면, q 글쇠를 누른다.
이것이 이 자습서의 마지막이다. 물론 이 파일에는 여러 다른 명령들을 설명하고 있지만, 이것은 이미 info를 사용할 줄 아는 사람을 위한 것이다. 이제부터 이런 명령들을 익혀 보다 유용하게 info를 사용하기를 바란다. 아마 이 자습서를 통해서 info란 어떤 것이고, 어떻게 움직이는가 정도는 알 수 있었을 것이다.
>> 이제 `d'를 쳐서, 최상위 노드로 돌아간 다음, `mInfo'를 쳐서, 아직 보지 않았던 부분들에 대해서 살펴 보기 바란다. |
[ <<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This document was generated by Autobuild on March, 29 2007 using texi2html 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