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 [Contents] | [Index] | [ ? ] |
"Texinfo"의 첫번째 음절은 "hex"와 같이 발음되지 않고, "speck"과 같이 발음된다는 것에 유의하자. 이 이상한 발음은 똑같지는 않지만, TeX의 발음에서 왔다. TeX이란 단어에서 `X'는 사실 영문자 "ex"가 아닌 그리스 문자 "chi"와 같이 발음된다. 마치 `X'가 `Bach'라는 이름의 마지막 소리인 것처럼 TeX을 발음한다; 하지만 Texinfo는 `x'가 `k'인 것처럼 발음한다. "Texinfo"를 대문자 "T"와 나머지 문자를 소문자로 써서 표기한다.
몇몇 문서에서는 첫번째 child에 `Previous' pointer가 없다. 때때로, 마지막 child는 `Next' pointer로 다음에 나오는 더 높은 level의 node를 `Next' pointer로 갖고 있다.
TeX이 없다면
texi2roff
를 사용할 수 있다; Texinfo는 TeX과 같이 사용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texi2roff
는 여기에서 설명하지 않는다. 하지만
texi2roff
는 표준 GNU 배포본의 일부이다.
argument라는 단어는 수학에서 사용되는 뜻으로 쓰이고, 사람들간의 논쟁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이것은 명령어에 제공하는 정보를 말한다. Oxford English Dictionary에 따르면, 이 단어는 명확하게 한다. 증명하다를 뜻하는 라틴어에서 왔다; 그리고 이 단어는 `증명으로 명백해짐'을 뜻하게 되었고 이것은 지금 이 단어의 수학에서의 의미가 되었다. 다른 갈래로 변해서, 이 단어는 `반대 의견을 가진 다른 사람에게 반대하는 의견'을 뜻하게 되었고, 이것은 `논쟁'으로서의 `argument'의 뜻이 되었다.
매뉴얼의 버전을 `edition'이라고 하고, 프로그램의 버전을 `version'이라고 하는 게 편리하다는 걸 알았다; 그렇지 않으면 문서와 소프트웨어에 대해서 대화를 할때 같은 단어로 혼동될 수 있다.
menu를 통해서 계층적인 구조와 관계없이 어떤 node로든 갈 수 있다; 심지어는 다른 Info 파일로도 갈 수 있다. 하지만, GNU Emacs의 texinfo mode updating 명령은 밑에 있는 node의 menu만을 만들 수 있다. 보통 그 외의 node를 참조하는 데는 상호 참조가 쓰인다.
현재, @definfoenclose
는
texinfo-format-buffer
와 texinfo-format-region
에서만
동작하고, makeinfo
에서는 동작하지 않는다.
Texinfo를 C, FORTRAN, 혹은 다른 언어와 비슷한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확장하는 것은 간단하다.
각주는 주요 텍스트를 보충하거나 확장하는 데 쓰여야 하지만, 주요 텍스트를 이해하기 위해 각주를 읽을 필요는 없어야 한다. 각주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University of Chicago Press에서 발간된 The Chicago Manual of Style을 보기 바란다.
이것은 각주의 예이다.
이것은 각주의 예이다.
Perhaps the command should have been
called the @refillandindent
command, but @refill
is
shorter and the name was chosen before indenting was possible.
[Top] | [Contents] | [Index] | [ ? ] |
This document was generated by Autobuild on March, 29 2007 using texi2html 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