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Up ] [ >> ]         [Top] [Contents] [Index] [ ? ]

1. make의 개관

make 유틸리티는 큰 프로그램 내의 어떤 부분들을 다시 컴파일해야 하는지 자동으로 판단하고, 다시 컴파일하는 명령어를 실행한다. 이 매뉴얼에서는 Richard Stallman과 Roland McGrath가 구현한 GNU make에 대해 설명한다. GNU makeIEEE Standard 1003.2-1992(POSIX.2)의 section 6.2에 따르는 프로그램이다.

여기서 우리가 사용하는 예제는 C 프로그램이다. C 프로그램이 가장 많이 쓰이기 때문에 여기서 C 프로그램을 사용했지만, make는 셸에서 실행시킬 수 있는 어떠한 프로그래밍 언어의 컴파일러와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make는 프로그램에만 사용되도록 국한된 도구가 아니다. 어떤 파일이 바뀌었을 때 그 파일로부터 자동으로 또 다른 파일을 갱신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 어떠한 작업에서도 make를 사용할 수 있다.

make를 사용할 준비 작업으로, 메이크파일(makefile)이라고 하는 파일을 작성해야 한다. 메이크파일(makefile)에는 프로그램 내의 파일들 사이의 관계 및 각 파일을 갱신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들이 들어 있다. 흔한 경우로, 어떤 프로그램에서 실행 파일은 오브젝트 파일에서부터 갱신되고, 그 오브젝트 파일은 소스 파일을 컴파일해서 만들어 진다.

일단 적당한 메이크파일(makefile)이 있으면, 소스 파일을 바꿨을 때마다 다음 간단한 셸 명령어를 실행하면:

 
make

모든 재컴파일 과정을 수행한다. make 프로그램은 메이크파일을 데이타베이스로 사용하고 파일의 마지막 변경 시각을 보고 어떤 파일이 업데이트되어야 할 지 결정한다. 각 파일에 대해서 데이타베이스에 쓰여 있는 명령어를 실행한다.

어떤 파일이, 어떻게 재컴파일되야 하는지 지정하고 싶을 때 make이 명령행에 인자를 쓴다. See section make 실행하는 법.


[ << ] [ >> ]           [Top] [Contents] [Index] [ ? ]

This document was generated by Autobuild on March, 29 2007 using texi2html 1.76.